반응형

 

2022년 4월 24일 건축기사 필기시험 해설

 

(1) 건축계획

 

1. 장애인, 노인, 임산부 등을 위한 편의시설 중 매개시설

 

매개시설 : 대지의 입구로부터 건축물의 주출입구까지 이르는 경로에 설치된 편의시설

- 주출입구 접근로

- 장애인전용 주차구역

- 주출입구 높이차이 제거

 

안내시설 : 시각 및 청각장애인이 시설을 이용하기에 편리하도록 설치된 편의시설

- 점자블록, 유도 및 안내설비

- 경보 및 피난설비

 

2. 사무소 건축의 기둥간격 결정 요소

- 책상의 배치 위치

- 채광상 층고에 의한 안깊이

- 주차 배치단위

 

* 상점 건축의 기둥간격 : 진열장의 치수와 배치방법, 엘리베이터의 위치, 지하주차장의 주차방식

* 기둥의 간격 : 그 건축물의 주용도에 맞게 결정

 

3. 우리나라 전통 한식 주택의 문꼴부분의 면적이 큰 이유 : 하절기 고온다습을 견디기 위해

 

4. 공장건축의 레이아웃 : 평면에서의 위치 관계

1) 제품 중심의 레이아웃 : 단품종 대량생산

2) 공정 중심의 레이아웃 : 다품종 소량생산

3) 고정식 레이아웃 : 조선, 선박 등 수가 극히 적은 경우

 

5. 메조넷형 아파트

- 복층형 아파트 : 소규모 주택에서 비경제적

- 통로면적 감소, 유효면적 증가

 

6. 고층밀집형 병원 : 병동에서 조망 확보, 대지 효과적으로 이용, 각종 비용 높음, 확장 어려움

 

7. 공간의 이용률과 순수율

이용률 : (그 공간을 이용하는 시간) / (전체 시간)

순수율 : (그 공간의 목적에 맞게 이용하는 시간) / (그 공간을 이용하는 시간)

 

8. 극장건축의 요소

1) 사이클로라마 : 무대 배경용 벽

 

2) 플라이 갤러리 : 극장 천장에 올라가는 계단과 연결되는 좁은 통로

출처 : One by One 블로그

 

3) 그리드 아이언  : 무대 천장 밑 배경이나 조명기구를 다는 장치

 

9. 도서관의 출납시스템

출처 : 쵸코 블로그

1) 자유개가식 : 열람 자유, 대출기록 제출이 없음

2) 안전개가식 : 대출 기록 + 열람 자유

3) 반개가식 : 열람 허락 (표지정도는 가능) -> 대출 기록

4) 폐가식 : 책의 목록에 의해 책 선택 -> 대출 기록

 

10. 미술관 전시실의 순회형식

1) 연속순로 형식 : 구형 또는 다각형의 전시실을 연속적으로 연결

- 동선에 따라 관람, 소규모에 적합

copyrightⓒ 2012. by PARK JaeHun

2) 갤러리 및 코리더 형식 : 복도를 따라 실을 배치한 형식

- 동선이 자연스러우나 길어짐

copyrightⓒ 2012. by PARK JaeHun

 

3) 중앙홀 형식 : 관람자의 선택이 자유로우나 큰 대지가 필요

copyrightⓒ 2012. by PARK JaeHun

 

11. 서양 건축양식의 역사적 순서

그리스, 로마 - 초기 기독교 - 비잔틴 - 로마네스크 - 고딕 - 르네상스 - 바로크 - 로코코

 

1) 로마

 

2) 초기 기독교 : 바실리카식 교회당

 

출처 : Anna's Diary

 

3) 비잔틴 : 이슬람, 모자이크 장식, 아치

출처 : 게티이미지코리아

 

4) 로마네스크 : 외부 소박, 내부 화려, 대형 탑, 스테인드 글라스

 

 

5) 고딕 건축 : 수직적으로 높고 창이 많음

 

 

6) 르네상스 : 인본주의, 로마 건축기법 계승, 수평성 강조

 

7) 바로크 : 역동적, 감각적

베르사유

 

 

12. 르네상스 교회 건축양식의 일반적 특성

- 수평을 강조하며 정사각형, 원 등을 사용하여 유심적 공간구성

 

13. 아파트 평면형식

- 홀형 : 통행부 면적이 작아서 건물의 이용도가 높음, 엘레베이터 홀로부터 직접 주거 단위로 들어가는 형식

- 중복도형 : 대지 이용률이 높으나, 프라이버스 좋지 않음

 

14. 페리의 근린주구이론

- 주민에게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1~2개소 이상의 상점가를 주요도로의 결절점에 배치

- 내부 가로망은 단지 내의 교통량을 원활히 처리하고 통과교통에 사용되지 않도록 계획

- 근린주구의 단위는 통과교통이 내부를 관통하지 않고, 우회할 수 있는 충분한 넓이의 간선도로에 의해 구획

페리의 근린주구이론

 

15. 백화점 진열장 배치방법

1) 사행배치 : 45도 경사지게 배치, 코너까지 접근 용이, 이형의 진열장 필요, 상품이 잘보임

출처 : Kephi lab

 

2) 자유유동배치 : 고객의 유동 방향에 따른 자유로운 곡선 배치

출처 : Kephi lab

 

3) 방사배치 : 원형을 중심으로 방사형 배치, 일반적으로 적용하지 않음

 

16. 공포 양식 (주심포식)

1) 주심포식 : 공포를 기둥 위에만 배열 : 강릉 객사문, 수덕사 대웅전, 무위사 극락전

2) 다포식 : 공포를 기둥 상부 외에 기둥사이에도 배열 : 남대문, 동대문, 창덕궁 돈화문, 경복궁 근정전, 창경궁 명정전

3) 익공양식 : 강릉 오죽헌

 

17. 극장건축의 음향계획

- 음향계획에 있어서 발코니의 계획은 될 수 있는 한 피하기

- 무대에 가까운 벽은 반사체로 하고 멀어짐에 따라 흡음재의 벽을 배치 

- 오디토리움 양쪽의 벽은 무대의 음을 반사에 의해 객석 뒷부분까지 이르도록 보강하는 역할

- 음의 반복 반사 현상을 피하기 위해 가급적 원형을 피해야함 : 음의 초점이 생길 수 있음

 

18. 쇼핑센터의 페데스트리언 지대

- 고객에게 변화감과 다채로움, 자극과 흥미 제공

- 바닥면에 사용하는 재료는 주위 상황과 조화

- 사람들의 유동적 동선에 방해되지 않도록

- 바닥면에 고저차를 적게 두어 피로함 감소하도록 

 

19. 그리스 건축의 오더

출처 : Mahru

1) 도릭 오더 : 에키누스, 돌림띠

2) 이오닉 오더 : 볼류트

3) 코린티안 : 아칸더스 꽃, 잎

 

20. 오피스 랜드스케이프 

- 작업의 폐쇄성 저하

- 사무능률의 향상 도모

- 공간의 효율적 이용 가능

반응형
반응형

 

1. 철근 공사

철근의 개요 및 가공

 

RC조의 배근 순서

- 기초, 기둥, 벽, 보, 바닥판, 계단

 

철근의 가공 : 상온에서 가공하는 것이 원칙

Hook 설치 : 원형철근 말단부, 이형 철근 중 거의 대부분

 

출처 : 철근 지식 저장소

 

철근의 이음 및 정착

 

 이음 위치 선정시 주의사항

1) 철근의 이음은 응력이 적은 곳에서 잇기

2) 이음의 1/2 이상을 엇갈려 잇기

3) 기둥, 벽 철근 이음은 층 높이의 2/3 하부에서 엇갈리게

 

출처 : 철근 지식 저장소

 

4) 보의 경우 중앙에서 하부근, 단부에서 상부근을 이음하지 않기 (단순보의 모멘트도)

 

철근의 이음 방법

1) 겹친 이음 : 철근 이음길이 만큼 겹쳐서 철선 #18~#20의 철선으로 개소당 2개소 이상 결속

2) 용접 이음 : 아크 용접, 플러시버트용접 등

3) 가스압접 이음 : 철근의 단면을 산소-아세틸렌 불꽃으로 가열하여 용접한 맞댐이음

- 장점 : 충분한 강도 보장, 콘크리트 타설 용이, 경제적

- 단점 : 숙련공 필요, 공정상 불리, 용접부 검사 어려움

4) 기계적 이음 : Sleeve압착 이음, 충전식 이음, 커플러 나사 체결법 등

 

출처 : 기구미

 

- 주의사항 : 철근 지름 길이 6mm 초과시, 재질이 다른 경우 금지

 

피복두께, 철근간격, 철근배근

 

 최소피복두께

- 목적 : 내화성 유지, 철근의 방청 유지, 굵은 골재의 유동성 유지, 부착력

 

1) 수중의 콘크리트 : 100mm

2) 흙에 접한 후 영구히 흙에 묻는 콘크리트 :  75mm

3) 흙에 접하거나 옥외 공기에 노출되는 콘크리트 : 40~50mm

4) 옥외의 공기나 흙에 접하지 않는 콘크리트 : 20~40mm

 

 

2. 거푸집 공사

거푸집 공사 개요

 

* 거푸집 공사는 건축공사비의 10% 이상으로 전체 공기의 25% 정도의 비중

 

◼ 거푸집 유의사항

- 거푸집 구비 조건 : 수밀성, 외력 및 측압에 대한 안전성, 간편성

- 안정성 검토 : 바닥, 보의 중앙부 치켜 올림 (1/300 ~ 1/500)

 

◼ 거푸집 부수재료

1) 격리재 : 거푸집 상호간의 간격 유지

2) 긴장재(긴결재) : 거푸집이 벌어지거나 변형되지 않게 연결 고정

출처 : G. 새로운 건축을 향하여

3) 간격재 : 철근과 거푸집 간격 유지4) 박리제 : 거푸집을 나중에 잘 떼어내기 위하 것

 

◼ 거푸집의 측압이 증가하는 경우

1) 콘크리트 타설 속도가 빠를수록

2) 콘트리트가 묽을수록

3) 콘크리트의 비중이 클수록

4) 시멘트량이 부배합일수록        *부배합 : 시멘트량이 많음 / 빈배합 : 시멘트량이 적음

5) 온도 및 습도가 낮을수록 (콘크리트 경화가 느릴수록)

6) 콘크리트의 응결시간이 느릴수록 (저열용 시멘트 등)

 

거푸집 및 동바리의 존치기간

 

◼ 거푸집 해체 시기 

1) 압축강도를 시험하는 경우

- 측면 (기초, 기둥, 벽, 보) : 5MPa 이상 / (슬래브 및 보의 밑면) : 14MPa 이상

2) 압축강도를 시험하지 않을 경우 (측벽)

- 20도 이상 : 조강포틀랜드 (2일), 보통포틀랜드 등 1종 (4일), 고로슬래그시멘트 등 2종 (5일)

- 10도~20도 : 조강포틀랜드 (3일), 보통포틀랜드 등 1종 (6일), 고로슬래그시멘트 등 2종 ( 8일)

* 내구성이 중요한 구조물에서는 10MPa 이상 확보

 

거푸집의 종류

 

◼ 거푸집의 재료에 따른 분류

* 시스템 거푸집 : 작은 부재를 사용 시 마다 제작하지 않고 일체화하여 한번에 조립하는 것

1) 나무거푸집 : 합판, 멍에, 장선 등으로 구성, 현장에서 제작하여 사용, 세부가공 용이

2) 강재거푸집 : 철판과 앵글 등으로 패널 제작

 

3) 유로 거푸집 : 내수합판과 경량 프레임으로 제작, 조립해체 간단, 패널 제작

 

◼ 벽체 전용 시스템 거푸집

1) 슬라이딩 폼 : 요크로 서서히 끌어올리는 공법으로 사일로 공사에 적합 ex) 전망탑, 급수탑, 사일로

- 공기 단축, 일체성 확보, 연속타설 가능, 인력 절감

 

출처 : 다탄밥 블로그

 

2) 갱 폼 : 대형화, 단순화하여 한번에 설치하고 해체하는 거푸집     ex) 외벽의 두꺼운 벽체나 옹벽, 피어 기초

- 설치 시간 단축, 안정성 우수, 초기 투자비 증가, 대형 장비, 세부가공 어려움

출처 : 서보산업

 

◼ 바닥판 전용 거푸집

1) 플라잉 폼 : 장선, 멍에, 서포트 등을 일체로 제작, 갱 폼과 조합 사용 가능   

출처 : 건축, 인테리어의 모든 것

 

2) 와플 폼 : 무량판 구조, 평판 구조에서 특수상자 모양의 기성재 거푸집으로 2방향 장선바닥판 구조(격자 천정)

 

 

3) 데크 플레이트 철판 폼 : 초고층 슬라브용 거푸집

출처 : 윈하이텍

 

4) 하프 슬라브 공법 : 공장제작된 PC콘크리트와 현장타설 타핑 콘크리트로 된 복합구조

 

출처 : 건축하는 늑대블로그

 

◼ 벽체 + 바닥판 전용 거푸집

1) 터널 폼 : 대형 형틀로 구획 전체의 벽판과 바닥판을 ㄱ자형 또는 ㄷ자형으로 짜는 거푸집

출처 : constrofacilitator

 

2) 트레블링 폼 : 장선, 멍에, 동바리 등 일체로 유니트화된 대형, 수평이동 거푸집, 토목구조물 (다리, 지하철 등)

출처 : 한국건설기계안전

 

◼ 무지주 거푸집 공법 : 서포트없이 수평지지보를 걸쳐 거푸집 지지

1) 보우빔 : 수평조절 불가능

2) 페코빔 : 수평조절 가능

출처 : 한국안전기술연합

 

3. 콘크리트 재료

 

콘크리트용 골재

 

골재 품질

1) 표면이 거칠고 둥근 것, 견고한 것, 입도가 좋을 것

2) 물을 뿌려리고 포장을 씌워서 습윤상태 유지, 경량골재는 포건내포 상태로 보관

* 골재의 염분 함유량 기준과 방청대책 : 염화물은 이상응결, 균열발생 증가, 철근 부식, 내구성 약화

- 염소이온은 0.02% 이하, 염화나트륨은 0.04% 이하, 콘크리트에는 0.3kg/m^3 ~0.6kgm^3

- 방청대책 : 아연도금, 콘크리트에 방청제, 에폭시 코팅, 골재에 제염제 혼합

 

 

골재의 종류

1) 잔골재 : 5mm체에서 중량비 85% 이상 통과되는 골재

2) 굵은 골재 : 5mm체에서 중량비 85% 이상 남는 골재, 일반적인 경우 20~45mm

 

◼ 골재의 함수량

흡수량 : 표면건조 내부포수상태의 골재 중에 포함되는 물의 양

유효 흡수량 : 표면건조 내부포수량에서 공기건조 상태 수량을 뺸 양

함수량 : 습윤 상태의 골재 내외에 함유하는 전수량으로 흡수량에 표면도 포수상태일때

표면 수량 : 함수량과 흡수량의 차이

 

 

◼ 골재의 시험방법

1) 유기불순물 측정 : 혼탁 비색법

2) 굵은 골재 마모저항성 측정 : 로스엔젤레스 시험

3) 골재의 입도 측정 : 골재의 조립률 시험

- 75mm, 20mm, 10mm, 4mm, 2.5mm 등 총 10개의 체

 

◼ 골재의 실적률 : 골재단위용적 중에서 실적용적

- 실적률이 클 수록 : 단위수량, 단위시멘트량이 작아져 건조수축과 수화열 감소

- 수밀성, 내구성, 내마모성 증대

 

 

시멘트의 특성

 

시멘트의 분말도 (1g 입자의 표면적 합계) : 수화작용이 빠름, 시공연도 좋음, 균열발생이 큼

-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 : 3300cm^2/g (초조강의 경우 6000)

- 보통, 중용열 포틀랜드 시멘트 : 2800cm^2/g

 

시멘트의 혼합물 특성 (수화작용과 관련)

1) 규산 3석회 (3CaO + 이산화규소) 알라이트 : 공기중 수축이 적고, 수중 팽창이 큼 (수경성) , 수화작용이 빠름 

*수경성 : 물에 의해 굳어지는 성질

2) 규산 2석회 (2CaO + 이산화규소) 벨라이트 : 공기중 수축이 조금 있고 수중 팽창이 작음, 수화작용이 더딤

3) 알루민산 3석회 (2CaO +Al2O3) 셀라이트 : 공기중 수축이 크고, 수중 팽창도 큼, 수화작용이 가장 빠름

4) 알루민산철 4석회 (4CaO + Al2O3 + Fe2O3) 페라이트 : 공기중 수축이 적고, 수화 열량도 적음, 내산성이 큼

 

◼ 시멘트 시험

1) 비중(밀도) 시험

2) 분말도 시험

3) 응결 시험 : 길모아 침에 의한 응결시간 시험방법

4) 안정성 시험 : 오토클레이브 팽창도

 

시멘트의 종류

 

1)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 석회질의 원료와 점토질의 원료 혼합 클링커를 석고에 가해 분쇄

2)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 : 보통의 28일 강도를 7일만에 발현

- 수화발열량, 조기강도가 큼, 건조수축균열에 주의

- 긴급공사, 한중공사, 수중공사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

 

3) 중용열 포틀랜드 시멘트 : 규산3석회와 알루민산 3석회를 줄이고 규산 2석회를 많이함

- 초기강도 발현이 늦으나 장기강도 큼

- 수화열이 낮아 건조수축균열 발생 작음

- 매스 콘크리트, 댐공사, 차폐용 콘크리트에 사용

 

4) 백색 포틀랜드 시멘트 : 산화철 성분을 작게해서 내구성, 내마모성 우수

- 높은 강도 발휘, 단기강도는 조강 포틀랜트 시멘트와 거의 비슷

 

5) 고로시멘트 : 클링커 + 고로슬래그 + 석고

- 비중이 낮고, 중성화가 빨라 물-시멘트 비를 줄여줌

- 해수, 하수, 지하수에 대한 저항성이 큼 -> 해안공사

 

6) 플라이애쉬 : 집진기 이용

- 알카리 골재반응 억제

- AE제에 흡착하기 때문에 3배의 양이 필요함

 

7) 포졸란 시멘트 : 실리카 시멘트가 혼합된 천연 및 인공의 것

- 플라이애쉬에 비해 건조수축이 약간 증가 

- 수경성은 없으나, 물과 반응하게 되면 수경성을 가짐

 

* 실리카 시멘트 : 인공산(플라이애쉬, 고로슬래그), 천연산(응회암, 화산회 등) 

* 포졸란 : 실리카 시멘트에 혼합된 모든 것

* 포졸란 반응 : 콘크리트 중 실리카가 수산화칼슘과 반응해 불용성의 화합물 형성

포졸란과 플라이애쉬의 공통점 : 공극을 줄이고, 매끄럽게 하는 효과
1) 시공연도 개선
2) 재료분리, 블리딩 감소
3) 단위수량 감소 -> 수화열 감소
4) 해수, 화학적 저항성의 증진
5) 초기 강도 감소, 장기 강도 증가
6) 포졸란 반응으로 수밀성 증가

 

8) 특수 시멘트

- 팽창 시멘트 :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방지 목적, 인장과 부착강도 개선

- 알루미나 시멘트 : 24시간 강도 = 28일 강도, 수화열이 크고 해수저항성, 내열성이 우수 (해안공사, 동기공사)

* 알루미나 시멘트는 타시멘트와 혼용 금지

 

각종 혼화제, 혼화재

 

혼화재 : 시멘트량 5% 이상, 시멘트 대체 재료로 이용되고 사용량이 많아 그 부피가 배합계산에 포함

- 플라이애시, 고로슬래그 미분말, 팽창재, 착색재, 규산질분말, 규조토, 폴리머 등

혼화제 : 시멘트량 1% 이하, 약품으로 소양 사용, 배합계산에 미포함

- AE제, AE감수제, 유동화제, 지연제, 급결제, 방수제, 기포제, 발포제 등

 

1) AE제 : 미세기포를 연행 (표면활성제, AE감수제, 분산제 등)

- 콘크리트 워커빌리티 및 내구성 향상

AE제 상세특성
- 동결융해 저항성 증가, 내구성 증진
- 시공연도 증진, 단위수량 감소
- 재료분리 저항성 증진, 블리딩 감소
- 잔골재가 많을 경우 공기량 증가
- 온도가 높으면 감소

 

2) 유동화제 : 감수제 + 유동성 증진

*감수제 : 물을 증가시키지 않고 이동성을 증가

- 발열량 감소, 건조수축감소, 재료분리 감소, 시공성 및 펌프압송성 개선

- 압축강도는 보통 콘크리트와 비슷

 

 

3) 응결, 경화 촉진제 : 급결제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탄산나트륨 등)

- 조기 강도 증진, 장기강도 감소, 건조수축 증가

 

4) 착색재 : 색을 가하는 내알카리성 물질

 

5) 방청제 : 염분에 의한 철근 부식 방지, 해사 사용시 이용 (아황산 소다, 인산염)

 

6) 실리카 흄 : 블리딩, 재료분리 감소 (고강도용 콘크리트)

- 중성화가 빠르고, 단위수량이 증가하여 건조수축이 커짐, so 고성능 감수제와 병용

 

7) 발포제 : 부착력 증대, 부재 경량화, 단열화 (PC, ALC 패널)

반응형
반응형

1. 기초 및 지정

- 기초 : 기초 슬래브 + 지정, 상부구조에 대한 하중을 지반에 전달

- 지정 : 기초 슬래브를 지지하기 위해 자갈 등으로 다진 부분

 

기초

 

◼ 기초판의 분류

1) 독립기초 : 단일 기둥을 기초판이 지지

2) 복합기초 : 2개 이상의 기둥을 한 기초판이 지지

3) 연속기초(줄기초) : 연속된 기초판이 벽, 기둥 지지

4) 온통 기초 : 건물 하부 전체가 기초판

 

 

지정

 

  보통 지정의 종류

1) 잡석지정 : 호박돌을 옆세워서 전단력 유지 + 사춤자갈 (가장자리 -> 중앙부)

2) 모래지정 : 말뚝을 박을 필요가 없을 때, 30cm 마다 물다짐

3) 자갈지정 : 5~10cm 정도 깔기

4) 긴주춧돌 지정 : 간단한 건물일 경우, 콘크리트 또는 긴주춧돌 세우기

5) 밑창 콘크리트 : 콘크리트 (1:3:6 = 시멘트 : 잔골재 : 굵은 골재)

말뚝

 

 

말뚝 배치 방법 : 정열, 엇모, 동일건물에 2종 말뚝 혼용금지

 

말뚝 종류

1) 나무말뚝 : 상수면 이사에 타입 (간격 2.5D, 60cm 이상/7m 이하 / 지내력 10ton)

2) 기성 콘크리트 말뚝 : 철근 콘크리트 주근 6개 이상 (간격 2.5D, 75cm 이상/ 15m 이하 / 지내력 50ton)

3) 강재 말뚝 : 깊은 기초 (간격 2D, 75cm 이상/ 70m 이하 / 지내력 100ton)

* 매입말뚝 : 프리보링 공법, SIP공법으로 기성 콘크리트, 강재 말뚝 사용

 

4)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 : 철근 콘크리트 주근 4개 이상 (간격 2D / 30~90m / 지내력 200~900ton)

 

 

◼ 말뚝 박기 시험 : 말뚝의 허용지지력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

- 시험용 말뚝은 3본 이상 박기

- 최종 관입량은 5회 또는 10회 타격한 평균값

- 5회 6mm이하인 경우 거부현상(항타종료)

 

◼ 언더 피닝 공법 : 인접한 건물 또는 구조물의 침하 방지를 위한 지반 보강 방법

 

1) 차단공법 : 이중널말뚝 공법, 차단벽 설치 공법

 

[##_Image/>

Array

 

2) 보강공법 :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 강재말뚝, 모르타르 및 약액 주입 -> 지내력이 강한 말뚝 사용

 

3) 직접지지법 : Jack 이용, Bracket 설치

다운로드

2. 말뚝기초

다운로드
출처 : 건축 시공-재료 지식 저장소
다운로드
다운로드
출처 : 기구미
다운로드
출처 : 기구미
다운로드
출처 : 기구미
다운로드

 

4) 프리보링 공법 : 파일구멍을 굴착 후 타설

5) 수사식 공법 : 물을 고속분사하여 타입

6) 중굴공법 : 말뚝의 중공부에 삽입후 굴착       *중공부 : 가운데가 비어있는 부분

 

 

◼ 말뚝의 허용지지력 산정

 

1) 재하시험에 의한 방법 : 동적, 정적 재하시험과 양방향재하시험

 

출처 : KH건설

 

2) 말뚝박기 시험에 의한 방법 : 유압잭, 실하중재하, 인발 저항력

3) 지반 허용응력에 의한 방법

4) 표준관입 시험에 의한 방법

5) 토질 시험에 의한 방법

6) 동역학적 추정 공식

 

 

 대구경 파일 및 깊은 기초

 

대구경 파일 공법

1) Benoto 공법 (올케이싱) : 굴착하는 전체에 외관을 박고 공사, 해머 그래이브로 굴착

- 케이싱 인발 시 주변 지반 이완 가능성

- 공사비 고가, 장비가 큼

출처 : 기구미

 

2) 리버스 서큘레이션 공법 : 정수압에 의하여 공벽 붕괴 방지

- 탑다운 공법에서 기둥 타설 시 사용

출처 : 기구미

 

3) 어스드릴 공법 : 어스드릴 굴삭기 이용

- 굴착속도가 빠름

출처 : 기구미

 

◼ 기타 깊은 기초

 

1) 우물통 기초 : 인력으로 굴착하는 공법, Pier 기초의 일종으로 경질지반에 도달시키며 심초, 심관 공법이 있음

* Pier 기초 : 수직공을 굴착하고 그 속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기초

 

2) 잠함기초(케이슨 기초) : 지하 구조체를 지상에서 구축하고 침하하는 공법

출처 : 해시넷

반응형
반응형

3. 지반 개량 공법

  • 지반 개량 공법 : 탈수법, 치환법, 재하공법, 다짐법 등 지반의 지지력 강화
배수공법

 

1) 중력식 배수공법 

 

  • 집수정공법 : 중력으로 물길을 만들어 배수

출처 : 기구미

  • 지멘스웰공법 (깊은 우물 공법) : 중력을 이용하며 강제로 펌프

출처: 종로 기술사학원

 

2) 강제식 배수

 

  • 웰포인트 공법 : 라이저파이프를 일정 간격으로 박고 지하수를 펌프하는 배수 공법

장점 : 지반이 압밀되어 흙의 전단저항 증가, 흙막이벽의 응력 감소(수압, 토압의 감소)

단점 : 점토질 지반에는 적용 불가, 인접지반의 침하 우려

 

출처 ; 종로 기술사학원

 

  • 샌드드레인 공법 : 철관을 박고 그 속에 모래를 다져 넣어 모래 말뚝 형성 후 지표면에 하중을 가해 배출

장점 : 연약한 점톤층의 수분을 빼내어 지반 경화 및 개량

출처 : 건축, 인테리어의 모든 것

 

  • 페이퍼 드레인 : 모래 대신 흡수지를 사용하여 물을 빼내는 공법

장점 : 시공이 빠르고 공사비가 쌈

단점 : 장기사용시 배수효과 감소

출처 : 한국안전기술연합

  • 전기 침투법 ; 지중에 전기를 통해 물을 전류의 이동과 함께 배수
사질 지반용 배수 공법 : 집수정법, 깊은 우물 공법, 웰포인트 공법, 진공식 시멘스 웰 공법
점토 지반의 배수 공법 : 샌드 드레인 공법, 페이퍼 드레인 공법, 전기 침투법

 

 

지반 개량공법

 

  • 점토질 지반의 개량공법

1) 치환 공법 : 1~3m 정도의 박층을 사질토로 치환 (굴착, 활동, 폭파)

2) 재하 공법 : 선행재하를 통해 압밀을 촉진 (압성토 공법)

3) 동결 공법 : 1.5~3 인치의 동결관을 박고 액체 질소, 프레온 가스, 드라이아이스 사용

- 강도 증대, 일시적 개량, 차수성이 좋으나 시공비 고가

4) 기타 공법 : 화학적 공법 (산화칼슘=생석회 : 탈수, 압밀), 소결공법 (기체나 액체를 태워 지반고결)

 

  • 사질 지반의 개량 공법

1) 다짐말뚝법 : 나무나 콘크리트 말뚝을 다수 타입하여 지반 강화

2) 다짐 모래말뚝 : 샌드 콤팩트 파일, 컴포저 공법 ( 진동기로 모래 삽입하며 다짐)

* 이 공법은 토공기계에서 다짐용 기계를 사용하여 진행

3) 진공 부유공법 : 수평방향으로 진동하는 기계를 이용하여 빈틈에 모래나 자갈을 채워 모래지반을 다짐 (내진)

4) 약액주입법(고결법) : 시멘트, 아스팔트, 물유리, 화학약품으로 지반 고결

5) 기타 : 폭파 다짐법, 동다짐법(동압밀공법)

 

출처 : 일리어스21

 

 

 

 

 

 

 

 

 

 

 

 

 

 

 

 

 

 

 

 

 

 

 

반응형
반응형

1. 흙파기 공법 및 토공장비

흙파기공법 
  • 터파기 : 기초공사를 위한 절토, 성토, 정지, 배토, 매토, 다짐작업 등
1) 터파기 경사각 : 휴식각의 2배
2) 성토 : 흙은 채우는 것, 1:4 이상의 급경사지는 원지반과 밀착 (배수처리 주의)
3) 되메우기 : 모래로 되메우기 할 경우 물다짐 (다짐밀도 95%이상)
4) 흙의 부피증가율 : 경암 (70~90%) > 연암 (25~60%) > 혼합물 (30%) > 진흙 (30~50%) > 모래 (15~20%) > 자갈
* 물에 의해 체적이 증가함
  • 흙파기 공법

1) 오픈컷 (경사면 파기, 흙막이 버팀대, 어스앵커) : 지반이 양호하고 여유있을 때 사용

 

 

2) 아일랜드 컷 : 중앙부분을 먼저 터파기하고 기초 축조 후 주변 흙 굴착 

 

출처 : 건축시공 - 재료 지식 저장소

 

3) 트렌치 컷 : 주변부를 선굴착 후 중앙부 굴착

출처 :  건축시공 - 재료 지식 저장소

 

4) 수평버팀대 공법 (Strut) : 가장 일반적인 공법, 널말뚝을 박고 흙파기를 하면서 수평버팀대 설치 

 

출처 :  엘앤비인테리어

 

* 널말뚝 : 흙막이 벽체

출처 : 더무브하우스 주식회사

 

  • 토공기계
굴삭용 기계 : 굴삭량 1000m^3 이상시에 사용이 유리하고, 그 이하는 인력에 의한 것이 유리

 

1) 파워셔블 : 기계가 서 있는 위치보다 높은 곳의 굴착

 

 

2) 백호우(드래그셔블) : 기계가 서있는 위치보다 낮은 곳의 굴착

 

 

3) 드래그라인 : 기계가 서있는 위치보다 낮은 곳 + 넓은 면적 + 연질지반

 

4) 크램셀 : 수직굴착 + 좁은 곳 + 사질지반

 

배토 정지용 기계 : 지면을 고르게 하는 작업

 

1) 불도우저 : 최대 100m에서 배토작업, 운반거리 50~60m

 

 

2) 앵글도저 : 산악지역 도로개설, 좌우 각도 회전 가능

 

3) 스크래이퍼 : 흙을 깍으면서 동시에 기체내에 담아 운반하고 깔기, 작업거리 100m~1.5km

 

 

4) 그레이더 : 땅고르기, 정지, 도로정리

 

 

다짐용 기계 : 흙에 외력을 가해 공극을 최소화하는 작업

 

1) 전압식 : 로드 롤러, 트램핑 롤러, 타이어 롤러 등

 

2) 진동식 : 진동롤러, Vibro 컴팩터(사질 다짐용), 진동 타이어 롤러

 

3) 충격식 : 람마(Rammer), Compactor(Tamper)

* 내연기관의 폭발력으로 충격을 주어 다짐

 

람마

 

2. 흙막이 공법

흙막이
  • 토압에 따른 설치 위치

1) 흙막이 버팀대 : 기초파기 밑바닥에서 그 깊이의 1/3 위치 (보통 1/200~1/300 정도 처지게 시공)

2) 띠장이음 : 버팀대 간격의 1/4 위치에 설치

* 띠장끼리 이을 때, 단순보에서 1/4 지점이 휨응력을 제일 적게 받기 때문에 (등분포하중)

 

 

3) 널막뚝 : '1:2:1' 비율로 깊게 설치, 측압 계숙에 따라 토압계로 측정하고 설치

 

널말뚝 산정시 고려사항

 

1) 히이빙 파괴 : 흙막이 바깥 흙이 안으로 밀려들어와 불룩하게 되는 형상

- 하부 지반이 연약하여 바깥에 있는 흙의 중량 + 지표면의 적재하중을 이기지 못할 경우

 

 

2) 보일링 현상 (분사 현상) : 지하수위차로 인해 모래지반의 지지력이 급격히 없어지는 현상

- 흙막이 저면의 특수성이 좋은 사질지반에서 지하수가 얕거나 상승하는 피압수로 인해 모래입자가 부력을 받는 경우

 

출처 : 안전과 행복은 하나

 

3) 파이핑 현상 : 흙막이 벽의 부실공사로 뚫린 구멍으로  지반내에 물 통로가 생기는 현상 (보일링 동반 가능)

출처 : 태엽 감는 새

 

  • 방지 방법 : 강성이 높은 흙막이 벽, 밑넣기를 깊게, 지반개량 공법, 토질 치환, 말뚝박기, 아일랜드 공법 채택 등

 

흙막이 공법의 종류

 

  • 간단한 흙막이

1) 줄기초 흙막이 : 깊이 1.5m, 나비 1m 정도, 옆 벽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널판, 띠장, 버팀대 사용

 

출처 : 코네스 빔

2) 연결재 당겨 매기식 흙막이 : 지반이 연약하여 버팀대로 지지하기 곤란한 넓은 대지에 사용

 

출처 : 테크비전

 

3) 버팀대식 흙막이 

- 빗 버팀대식 : 줄파기와 규준띠장을 대고 널말뚝을 박고, 중앙부, 주변부의 흙을 팜

- 수평 버팀대식 : 빗 버팀대와 같이 중앙부의 흙을 파고, 지주 말뚝을 박은 후 휴식각에 따라 남겨둔 흙 파기

 

  • 널말뚝에 의한 흙막이 공법

1) 목재널말뚝 : 높이 4m(초과시 철재), 생나무 사용

2) 철재널말뚝 : 용수가 많고, 토압이 크고, 기초가 깊을 때 사용

3) 철콘널말뚝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널말뚝

 

  • 지반 정착 공법 (어스 앵커) : 흙막이 벽의 배면 흙 속을 원통형으로 굴착하여 앵커체를 설치

출처 : 삼우

  • 지하연속벽 공법 : 말뚝을 주열식으로 나열하는 방법, 지반에 연속적인 벽체를 형성하는 방법

*CIP, PIP, MIP, ICOS, 슬러리월 등의 방법

 

1) ICOS 공법 (제자리 콘크리트 말뚝 공법) : 제자리 콘크리트 말뚝을 주열식으로 나열하여 연속벽 구성

 

 

- 벤토나이트(이수)를 이용하여 굴착 : 팽창진흙

- 저소음, 저진동 공법

- 흙막이 효과가 좋고, 인접건물의 침하우려 시 유효하다

 

2) 슬러리 월 공법 : 벤토나이트를 이용하여 일정폭의 지반을 굴착하고 철근과 콘크리트 타설

- 가장 안정적인 공법, 저소음, 저진동, 벽체 강성 우수

- 이동 느리고, 시공비 고가, 수평 연속성 부족

출처 : 상림건축 디자인그룹

 

- 물시멘트비 50% 이하, 설계기준 강도의 125% 이상, 피복두께 80mm 이상

 

* 탑다운 공법(역구축 공법)은 슬러리월에 의해 지하 흙막이를 한 후 기둥과 기초를 선시공하고 공사를 진행

- 장점 : 지상, 지하 동시작업으로 공기 단축, 주변 지반에 영향이 없음 (슬러리월), 천후와 무관

- 단점 : 고성능, 기둥 이음 등 수직부 일체화 시공의 어려움

 

흙막이 벽의 계측

 

1) 인접구조물의 기울기 측정 : 경사계

2) 지중 수직변위 계측 : 지중침하계

3) 간극수압 계측 : 간극수압계

4) 흙막이 벽, 버팀대의 하중 : 하중계

5) 버팀대의 응력, 변형 계측 : 변형계

6) 기타 : 지하수위계, 토압계, 소음 측정 등

반응형
반응형

1. 가설공사

 

공통가설공사 : 운영, 관리상 필요한 가설 시설 

 

- 고려사항 : 반입순서, 반복사용, 조립해체 간평성, 안전, 경량화

- 가설공사의 종류 : 가설건물, 공사용 동력, 통신설비, 용수비, 안전설비 등

  • 가설건물의 종류
1) 가설 울타리
높이 : 2층 이상 시 1.8m 이상 (보통 2~3.5m), 특별한 경우 3m 이상
* 출입구는 가로 폭 4m이상 설치

 

서초구 가설울타리

2) 현장 사무소
크기 : 1인당 5~8m^2 (최소 1평)      
* 식당 (1m^2/인), 근로자숙소 (4.2m^2/인)

3) 시멘트 창고 : 습기를 조심해야됨
바닥 : 지면에서 30cm 이상 띄우고 방습처리
설치 : 배수도랑, 환기창 금지, 개구부 금
보관 : 13포 이하로 (장기저장은 7포 이하)
사용 : 3개월 경과 시 시험 후 사용 - 시멘트 풍화

4) 현장 화장실 : [대변기] 남자 20명/1기 , 여자 15명/1기 [소변기] 남자 30명/1기

 

 

 

직접가설공사 : 본건물 축조에 직접 필요한 시설

 

  • 기준점 (벤치마크) : 건물의 높이 및 위치측정의 기준
  • 규준틀 : 건물의 각 부 위치, 높이 등을 정확히 결정하기 위한 것
1) 수평규준틀 : 규준대 + 수평실 + 규준말뚝
2) 귀규준틀 : 모서리, 꺾이는 부분에 설치
3) 세로규준틀 : 조적 공사에서 수직면의 기준으로 사용

 

  • 비계

1) 외줄비계 : 경미한 공사

 

2) 쌍줄비계 (본 비계) : 고층건물

 

3) 내부비계(말비계 포함) : 실내 마감용

4) 달비계 : 외부수리, 마감, 청소

5) 단관비계 : 철물로 강관을 연결해야하는 비계

6) 받침 철물 : 베이스플레이트 비계받침대 (수직재와 1/3 겹침)

기타 가설 시설

  • 비계다리 : 나비 90cm 이상, 경사 30cm 이하, 난간 90cm 이상
  • 계단참 : 7m 이내마다 설치
  • 낙하물 방지망 : 수평에 대해 20~30도, 내민길이는 비계 외측에서 2m이상, 겹친 길이 15cm 이상

 

2. 지반조사

 

흙의 성질
  • 지내력도 : 경암반(화강암 등) > 연암반(편암 등) > 자갈 > 자갈과 모래 > 모래와 점토 > 모래 > 점토
  • 예민비 (압축강도의 감소비) : 자연상태 시료의 강도 / 흐트러진 시료의 강도 
  • 투수성 : 배수공사와 지하수처리에 영향 (모래>점토)
  • 간극비 : 간극의 용적 / 토립자의 용적
  • 함수비 : 물의 중량 / 토립자의 중량 * 100%
  • 포화도 : 물의 용적 / 간극부분의 용적 * 100%
토질 시험
  •  지내력 시험 (평판 재하 시험) : 기초를 결정하기 위한 시험 (8단계 차례로)

출처 : 대한기초엔지니어링

  • 직접 전단 시험 (1면 전단, 2면전단) : 사질, 점토지반의 점착력, 마찰력
  • 일축 압축 시험 : 점성토의 일축압축강도, 예민비, 탄성계수
  • 삼축 압축 시험 : 점착력, 마찰각, 간극수압 측정
지반 조사 : 천공(보링), 물리적 지하탐사

 

  • 지하탐상법

출처 : 기구미 블로그

 

1) 짚어보기(탐사간) : 철봉을 땅속에 박아서 그 침하력으로 지층의 깊이 추정
2) 터파보기  : 깊이 1.5~3m 대지일부를 시험 파기하여 지층상태 조사
3) 물리적 지하탐사 : 광대한 지하 구성층의 대략적 탐사
- 탄성파 탐사, 전자탐사, 레이더탐자, 중력탐사 등

 

  • 보링 (천공법) : 지반을 천공하고 토질의 시료를 채취하여 지층 상황 판단 (20m 이상)

1) 오거 보링 : 얕은 지반에 오거를 회전시켜서 시료 채취

출처 : 알리바바

2) 수세식 보링 : 연약한 토사에 수압을 이용하여 탐사

3) 충격식 보링 : 경질층의 깊은 굴삭에 사용, 로프 끝에 Bit를 달고 낙하충격으로 파쇄 후 천공 Bailer

4) 회전식 보링 : 지층의 변화를 연속적으로 확인, 회전 천공 후 이수사용

* Bit : 칼날(굴삭용)

 

샘플링 : 시료를 채취하는 것
1) 딘월 샘플링 : 연약 점토의 채취
2) 콤포지트 샘플링 : 굳은 점토, 다져진 모래의 채취

사운딩 : 저항체를 땅속에 삽입하여 관입, 회전 등으로 토층의 성상 탐사
1) 정적인 것 (Vane Test) : 연약점성토의 현장시헝
출처 : 영신컨설턴트

2) 동적인 것 (표준 관입 시험기) : 사질지반의 현장시험

출처 : 건축시공 -재료 지식 저장소
* 점토지반 : 30~50(매우 단단 점토) > 0~2(아주 무른 점토)
* 사질지반 : 30~50(밀실한 모래) > 5이하 (아주 느슨함)

 

 

* 토질의 주상도 : 토질시험, 표준관입시험을 통해 지층의 단면상태를 축적으로 표시한 지반 예측도

출처 : 건설플래너

 

반응형
반응형

 

나머지 4. 입찰 및 계약 | 5. 공정관리 및 품질관리 에 대해서 정리를 했다

.

 

4. 공사계획 및 건설조직

공사계획
  • 시공계획 순서 : 계약 조건의 확인 - 설계도서 파악 - 현지조사 - 공사수량 파악 - 시공 계획 입안
  • 공사계획 순서 : 현장원편성 - 공정표 작성 - 실행예산 편성 - 하도급 업체 선정 - 자재, 설비 등
1) 현장원 편성 : 공사계획 중 가장 우선
* 현장소장을 중심으로 조직 편성

공정표 작성 : 공사 수행 일정
- 공사 착수 전에 작성
- 각 공사별 공사량에 따라 작성
* 공사기간을 지배하는 요소 : 건축물의 규모, 구조,  > 시공자의 능력, 자금사정, 기후 >  발주자의 요구, 감독
  • 공사순서 : 공사 준비 - 가설공사 - 토공사 - 지정 및 기초공사 - 방수 및 방습공사 - 지붕 공사 - 마무리 공사 - 창호공사
  • 공사계획 전 사전조사 : 급수, 배수, 지형 및 토질 상태, 교통, 기후 등

 

건설관리조직의 종류

 

  • 라인 조직 : 단순한 업무, 책임과 권한이 명확

  • 라인-스태프 조직 : 라인조직 + 스태프의 역할, 공기단축을 목적으로 패스트 트랙 공사에 적합

  • 태스크포스 조직 : 각 분야의 준가들이 모인 한시적 조직 (긴급공사)
  • 기능식 조직 : 기능별로 책임자를 구성, 복수의 책임자
  • 매트릭스 조직 : 기능조직 + 태스크포스조직 | 대규모 사업에 적합

 

5. 공정관리 및 품질관리

공정관리의 개요

 

  • 공정관리 : 공기를 예측하고 공기내 완성을 목표로 최적화하는 과정
  • 진행 순서 : 플래닝 - 스케쥴링 - 모니터링 - 콘트롤
1) 공정계획 작성시 고려사항
- 품질목표, 생산속도 향상, 가격과 안전, 자재 및 노무
- 세부공사 공정계획은 공정계획수립 후 별도 작성
- 공사기간을 단축하기 위해 가능한 중복시공
- 부품제작일수, 운반상황 고려
- 작업일수 계산시 강우기, 한냉기 등 작업불능일수 계산

2) 공종별 공정 특징
- 기초공사 : 옥외작업으로 기후의 영향이 큼 -> 충분한 공기, 공기단축 어려움
- 골조공사 : 반복 작업이 많음 -> 공기단축 가능성
- 마감공사 : 공정단계가 많음 -> 충분한 공기, 최대한 동시에 시공(중복시공)

 

공정표의 종류
  • 횡선식(막대) 공정표 : Bar Chart로 일목요연하게 작성, 상호관계를 나타낼 수 없음
예정과 실시를 비교하면서 관리하는 공정표

  • 사선식(절선) 공정표 : 공사의 기성고를 표시하는데 편리  ex) 기성고(공사비) 누계 곡선

  • 열기식 공정표 : 공사착수 등을 글자로 나열, 부분공정표(재료준비, 인부 수, 주문기일 등)를 나타낼 떄 사용 
가장 간단한 인부 및 자료준비를 하는데 있어서 가장 적당

  • 네트워크 공정표 : 작업 간의 네트워크를 표현하는 수법

장점 : 공사전체의 내용파악이 쉬움, 여유시간 관리 편함

단점 : 작성시간 소요, 작업 세분화의 한계, 수정하기 어려움

1) Net Work 공정표의 용어 및 기호
* Activity : 작업투입이 이루어지는 선
* Dummy : 가상의 작업으로 시간의 요소가 없음, 선후관계, 종속관계를 나타냄 
* Critical Point의 특징
- 여유시간이 없으며가장 빠른 개시(종료)시각 = 가장 늦은 개시(종료)시작, 경로 중 가장 많은 날 수를 소모한다
- 복수의 경로가 존재할 수 있으며, 더미가 포함될 수도 있다
- 개시결합점에서 종료결합점까지 연결되어야 한다
* 작업의 시작점과 끝점은 Event, 그 사이는 Activity가 존재


2) 네트워크 공정표 기법 : PERT기법, CPM기법

PERT : 공기단축을 목적으로 결합점(Event)를 중심으로 일정계산 (여유시간 = SLACK)
CPM : 공비절감을 목적으로 활동(Activity)를 중심으로 일정계산 (여유시간 = Float; TF, FF, DF)
* TF(전체여유) = LFT - EFT
* FF(자유여유) = 후속작업의 EST - 현재 작업의 EFT
* DF(간섭여유) = 후속작업의 TF에 영향을 주는 여유 (TF - FF)

CPM의 최소비용 공기단축 기법 (MCX : Minimum Cost Expediting)
- 순서 : CP 구하기 - 비용구배 - 단축가능 한계까지 단축 - CP에서 공기를 단축, Sub CP가 CP까지 - 동시 단축 
- 다른 작업과의 영향 고려, 품질이나 안전성 저하 방지 등

 

  • LSM(LOB) 도표 : 반복되는 작업들 간의 상호작용을 나타냄 , 도로나 고층빌딩골조에 사용

LSM : Linear Scheduling Method
LOB : Line of Balance

LSM의 특징
- 네트워크 공정표보다 작성하기 쉬움
- Bar Chart 보다 많은 정보 제공


* 버퍼 (주공전선 표시) : 위의 LSM 도표에 표시된 선 

 

    • 기타 공정표 : ADM 공정표, PDM
ADM 공정표 : Arrow Diagram Method
PDM 공정표 : Precedence Diagrmming Method
- Node에 많은 정보 표기 가능
- Dummy가 발생되지 않음
- 작업의 상호 연관관계와 중복관계 표시

 

경제적인 시공속도

 

  •  총공사비 = 직접비 + 간접비

* 직접비 : 건설자재, 노무자의 인건비, 기계경비 등 시공에 투입되는 원가요소

* 간접비 : 현장사무실 운영비, 관리 인건비 등 

 

  • 비용구배 : 공사비(원) / 공사기간(일) 

- 특급점 : 아무리 비용을 투입해도 공기를 단축시킬 수 없는 지점
- 표준점(최적 공기) : 표준 비용 + 표준 공기 | 직접비와 간접비의 합계가 최소가 되는 점

 

품질관리 (QC)

 

  • 관리사이클 : Plan - Do - Check - Action
  • 품질관리의 7가지 종류
1) 히스토그램 (분포도) : 그래프 형태로 데이터를 표현하는 것

2) 특성요인도 (원인결과도) : 결과에 대해 원인이 어떻게 관계하는지 작성한 그림

3) 파레토그램 (영향도) : 불량을 구분하여 크기로 나열 후 대책 판단

4) 산점도 (상관도=산포도) : 서로 대응하는 데이터를 그래프 위의 점으로 나타낸 그림

5) 체크 시트 (집중도) : 계수치의 데이터가 분류항목의 어디에 집중되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표

6) 층별 (부분집단도) : 집단을 구성하는 많은 데이터를 몇개의 부분 집단으로 나눈 것
7) 각종 그래프 : 데이터 요약
반응형
반응형

 

대부분의 과목이 그렇겠지만 첫 장은 간단한 개요에 대해서 설명하기 때문에 큰 어려움없이 이해할 수 있었다.

 

1. 시공의 개요

2. 건축시공 계약제도

3. 입찰 및 계약

4. 공사계획 및 건설조직

5. 공정관리 및 품질관리

 

총 5개로 구성되어 있다. 

 

1. 시공의 개요

건축시공의 개요
  • 건축시공의 3대 관리 : 원가관리, 공정관리, 품질관리
  • 건축공사 기술의 5대 관리 : 노무(인력), 장비(기계), 자원, 자금, 시공법
  • 시공의 현대화 : 재료의 건식화, 건축생산의 양산화 (Pre-Cast화)

* 원가관리 = 돈 / 공정관리 = 시간 / 품질관리 = 신용

* Pre-Cast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란?  조립식 콘크리트, 미리 제작하고 운반하여 설치

2. 건축시공 계약제도

건축시공계약제도의 분류
  • 직영공사 : 발주자(건축주)가 직접 재료, 노무, 시공 
  • 도급공사 : 발주자가 도급업자에게 공사를 위탁하여 시공
도급공사의 종류
1) 공사실시 방식 (=도급 방식)
일식도급 : 공사전체를 한 업자에게 주고 시공업무 일체를 시행
- 장점 : 공사비 확정, 공사관리 용이 / 단점 : 부실공사 우려
분할도급 : 전문공종별, 공정별, 공구별(지역별)로 전문업자에게 나누어서 시행
- 장점 : 전문적인 공사 기대, 경쟁시공 가능 / 단점 : 감독 업무 증가
공동도급(Joint Venture) : 2개 이상의 회사가 임시로 결합하여 공동연대책으로 공사 시행 (대규모 공사)
- 장점 : 위험 분산, 기술 향상 / 단점 : 경비 증가, 이해충돌 우려
> 공동이행방식, 분담이행방식, 주계약자형 공동도급방식
* 분담이행방식 (컨소시엄) : 법인을 설립하지 않고 공사의 책임을 각각 독립된 회사가 가짐

2) 도급 금액결정 방식
정액도급 : 공사비 총액을 확정하고 계약하는 방식
- 장점 : 경쟁입찰 가능, 공사관리 간편 / 단점 : 공사변경 곤란, 설계도서 완성 후 입찰
단가도급 : 단위공사(재료, 면적 등)의 단가만을 계약하는 방식  (긴급공사)
- 장점 : 신속한 공사 / 단점 : 공사비 예측 어려움, 공사량 절감 노력 감소
실비청산보수가산도급 : 선시공 후지급 방식으로 신용계약의 방식  (선진국)
- 장점 : 우수한 시공 / 단점 : 공사기간 연장의 우려, 공사비 증가
> 이론상으로 직영과 도급공사의 장점만을 가진 이상적인 제도

3) 업무범위에 따라 계약
턴키도급 (일괄 수주) : 모든 요소를 포괄한 도급계약 방식
성능발주방식 (특명입찰방식) : 건축주의 요구성능에 맞게 시공자가 자유롭게 선책하여 발주하는 방식
건설사업관리(CM) : 전문가 집단에 의한 설계와 시공을 통합관리(타당성 조사, 설계 등)
PM방식 : 사업 기획 단계부터 종합적으로 관리
파트너링 방식 : 발주자가 직접 설계, 시공 + 프로젝트 관련자들이 상호신뢰로 공동목표 수행
BOT방식 : Build(시공) - Operate(운영) - Transfer(투자금 회수)     ex) 대규모 사회간접자본 사업 (SOC)
> BTL (Build - Transfer - Lease) : 시설물 임대료로 투자금 회수

건축공사 관계자와 업무
  • 건축주, 설계자, 감리자, 관리자(시공자, 현장소장, 기술자 등)
  • 도급자 : 원도급자, 재도급자, 하도급자
  • 노무자 : 직용노무자, 정용노무자, 임시고용노무자

 

기타 건축 용어설명
  • VE(가치공학) : 대안개발을 통한 원가절감 및 기능 향상 기법
원가절감, 공사비 절감, VE 수행의 특징 : 비용 절감할 가능성이 있어야 함

대체적으로 신공종, 비용이 큰 공종, 여러 번에 걸친 많은 공종 등을 위주로 수행한다.

1. 수량이 많은 것
2. 반복효과가 큰 것
3. 금액, 시간, 노력이 큰 것 
4. 지하공사 등 어려움이 많은 것
  • EC화 : 업무영역의 확대 (단순 Construction -> 설계 + 시공 등), 종합건설업화
  • CIC : 컴퓨터, 정보통신 등을 바탕으로 최적화, 효율화      ex) BIM 등
  • CALS : 건설 정보의 실시간 공유할 수 있는 공공 전산시스템      ex) 공공기관 건설정보 시스템
  • PMIS : 최고품질의 사업 목적물 건설을 위한 전산시스템
  • OR : 생산계획의 최적방법을 찾는 것으로 여러 방법을 비교하여 선정

2. 건축시공 계약제도

건축시공계약제도의 분류
  • 직영공사 : 발주자(건축주)가 직접 재료, 노무, 시공 
  • 도급공사 : 발주자가 도급업자에게 공사를 위탁하여 시공

 

도급공사의 종류
1) 공사실시 방식 (=도급 방식)
일식도급 : 공사전체를 한 업자에게 주고 시공업무 일체를 시행
- 장점 : 공사비 확정, 공사관리 용이 / 단점 : 부실공사 우려
분할도급 : 전문공종별, 공정별, 공구별(지역별)로 전문업자에게 나누어서 시행
- 장점 : 전문적인 공사 기대, 경쟁시공 가능 / 단점 : 감독 업무 증가
공동도급(Joint Venture) : 2개 이상의 회사가 임시로 결합하여 공동연대책으로 공사 시행 (대규모 공사)
- 장점 : 위험 분산, 기술 향상 / 단점 : 경비 증가, 이해충돌 우려
> 공동이행방식, 분담이행방식, 주계약자형 공동도급방식
* 분담이행방식 (컨소시엄) : 법인을 설립하지 않고 공사의 책임을 각각 독립된 회사가 가짐

2) 도급 금액결정 방식
정액도급 : 공사비 총액을 확정하고 계약하는 방식
- 장점 : 경쟁입찰 가능, 공사관리 간편 / 단점 : 공사변경 곤란, 설계도서 완성 후 입찰
단가도급 : 단위공사(재료, 면적 등)의 단가만을 계약하는 방식  (긴급공사)
- 장점 : 신속한 공사 / 단점 : 공사비 예측 어려움, 공사량 절감 노력 감소
실비청산보수가산도급 : 선시공 후지급 방식으로 신용계약의 방식  (선진국)
- 장점 : 우수한 시공 / 단점 : 공사기간 연장의 우려, 공사비 증가
> 이론상으로 직영과 도급공사의 장점만을 가진 이상적인 제도

3) 업무범위에 따라 계약
턴키도급 (일괄 수주) : 모든 요소를 포괄한 도급계약 방식
성능발주방식 (특명입찰방식) : 건축주의 요구성능에 맞게 시공자가 자유롭게 선책하여 발주하는 방식
건설사업관리(CM) : 전문가 집단에 의한 설계와 시공을 통합관리(타당성 조사, 설계 등)
PM방식 : 사업 기획 단계부터 종합적으로 관리
파트너링 방식 : 발주자가 직접 설계, 시공 + 프로젝트 관련자들이 상호신뢰로 공동목표 수행
BOT방식 : Build(시공) - Operate(운영) - Transfer(투자금 회수)     ex) 대규모 사회간접자본 사업 (SOC)
> BTL (Build - Transfer - Lease) : 시설물 임대료로 투자금 회수
[##_Image/>Array

 

3. 입찰 및 계약

입찰방식 (도급자 결정방식)

 

  • 입찰 방식의 종류
1) 공개경쟁입찰 : 널리 공고하여 입찰시키는 방법
장점 : 균등한 기회, 담합의 우려 적음. 공사비 절감 효과 
단점 : 입찰사무 증대, 시공정밀도 우려, 부적격자의 낙찰 가능성

2) 지명경쟁입찰 : 발주자가 인정한 3~7개 회사 선정 후 입찰시키는 방법
장점 : 시공상의 신뢰성, 부적격자 제거
단점 : 담합의 우려, 공사비 상승

* Lower Limit : 예정가격의 약 85% 이하의 입찰자는 무효처리 (덤핑 수주 방지책)
* 덤핑 수주 : 무리한 최저가 낙찰

3) 특명입찰 (경쟁 X) = 수의계약 : 특정한 시공업자 선정하여 계약 체결
장점 : 공사기밀 유지, 우량 공사 기대
단점 : 공사비 증대 

 

  • 입찰 제도
PQ제도 : 입찰참가자격 사전심사제도 (공사경험 + 재무상태 + 기술능력)
부대입찰제도 (하도급자 보호제도) : 하도급자의 계약서를 입찰서에 첨부
대안입찰제도 : 시공자가 대안입찰을 제안하는 입찰제도 (우리나라만 존재)
  • 입찰순서 : 입찰통지 - 현장설명(설계도서, 견적 및 적산 등) - 입찰 - 개찰 - 낙찰 - 계약

* 개찰 : 입찰서 제출 후 지정된 곳에서 입찰자가 참석한 가운데 입찰서를 개봉하는 것

* 입찰보증금 : 입찰금액의 5% ~ 10% (참가자 -> 발주자)

* 계약보증금 : 계약 공사비의 10% (발주자 -> 참가자)

 

계약서류

 

  • 계약서류의 종류 : 필요서류 + 참고서류
필요서류
1) 공사도급계약 서류 : 계약서 및 공사도급 규정
- 공사 내용 (규모, 도급금액), 공사진행일정, 지불방법, 설계변경 사항, 천재지변, 위약금 등
* 공사비 지불순서 : 착공금 (70%이내) - 중간불(기성불 90%) - 준공불 - 하자보증금 (계약금의 2~5%)
2) 설계도서 : 설계도, 시방서 (공통시방서, 특기시방서)

참고서류
1) 공사비 내역서
2) 현장설명서, 질의응답서
3) 공정표

 

시방서
  • 시방서의 종류

표준시방서 : 대한건축학회에서 발행된 공통시방서

특기시방서 : 특수재료, 특수공법 등 표준시방서의 적용이나 삭제 등 표현

* 시방서 : 설계자가 작성

 

  • 시방서 내용
시방서 기재방법
- 시공순서에 맞게 빠짐없이 서술
- 오자, 오기 등 중복되지 않고 간결하게 서술
- 재료, 공법 등 도면과 상이하지 않게 서술

시방서 기재내용
- 사용 재료의 종류, 품질, 수량검사 등
- 공법의 일반사항, 시공정밀도 등
- 시공 기계, 장비의 설치방법, 종류 등
- 표준규격, 대안의 선택 등

* 시방서에 공사비는 기재하지 않는다 (계약서에 첨부)

 

  • 시방서와 설계 도서의 우선순위

1) 공사 감리자와 협의한다 : 즉시 알리기

2) 건축물의 설계도서 작성기준을 따른다

- 공사시방서 - 설계도면 - 기타 등등

반응형
반응형

 

4학년 때, 이것저것 하느라 건축기사를 따지 못했다.

 

이것 때문에 작년에 취업을 못한 것 같기도 하고, 어쨋든 건축과를 졸업하는데 건축기사가 없다는건...

(특히, 건축쪽으로 진로를 생각하고 있는데 말이다)

 

그래서, 올해 2월 졸업을 앞두고 건축기사 1회차 시험 합격을 목표로 공부를 시작했다.

 

아마 필기, 실기 불합격없이 통과하면 5월 말 쯤 기사 자격증 발급이 될 것 같다.

(이번에도 이력서에 적기에는 글렀다 ㅠ,ㅠ)

 

그래도, 서류만 통과하면 면접가서 열심히 준비하고 있다고 해야겠다... (의미가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

 

사실 기사 자격증 시험은 CBT이기 때문에 기출 돌리면서, 문제랑 답만 외우면 3일(?)~일주일이면 되지만, 

 

공부하는 겸 취업할 때 전공 질문이나 PT 면접 준비하는 겸,

 

건축공학과를 졸업하면서 내가 무엇을 배웠는지 정리하는 겸 등 제대로 공부하기로 생각하고 있다.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집중적으로 이해하고, 그 외 부가적인 부분들은 훑고 지나가는 식으로 공부를 할 예정이다.

.

 

건축기사 필기시험까지는 2주정도 남았다.

 

건축 시공과 건축 구조에서 PT 면접질문이나 전공질문이 많이 나오기 때문에 이 두 과목은 이론서를 사고 나머지는 요약서를 사거나 CBT만 돌릴 생각중이다.

 

어쨌든 자격증 공부 시작.

 

공부 계획

 

건축기사 시험은 총 5개의 과목이 있다.

 

건축계획, 건축시공, 건축구조, 건축설비, 건축법규

 

건축구조와 건축시공은 빠삭하게 공부하고 나머지는 적당히 공부하기로 계획을 세웠다.

 

10일 정도 이론서를 보고 2일 정도 CBT를 돌리기

 

10일 계획 : 건축시공, 건축구조 이론서 끝내기

 

2일 : CBT 목표는 5개년인데 힘들 것 같다

.

 

그 중

 

건축시공을 먼저 공부하기로 마음을 먹었다.

 

목차는

제 1장 총론 및 관리

제 2장 가설공사 및 지반조사

제 3장 토공사 및 기초공사

제 4장 철근콘크리트 공사

제 5장 철골공사

제 6장 조적공사

제 7장 목공사

제 8장 지붕 및 방수공사

제 9장 미장 및 타일공사

제 10장 창호 및 유리공사

제 11장 도장, 합성수지, 금속 및 커튼월 공사

제 12장 건축적산

 

이렇게 총 12장으로 구성되어있고, 나에게 주어진 시간은 10일 정도(?)이다.

 

이그래서 하루에 '2 장'씩하고 철근콘크리트는 비교적 양이 많으니까 하루에 하는 걸로 총 7일.

 

+건축시공 이론서 뒤편에 기출문제 푸는 날까지 더해서 8일로 계획을 했다

.

 

오랜만에 공부를 해서 재밌었는데, 이 재미가 오래갈 것 같진 않다는 생각이 들었다

 

내일만 돼도 힘들겠지..

 

어쨋든 시작은 좋다

.

 

아무리 이론서라 하더라도 건축용어가 생소하기 때문에

 

1. 실무에서의 모습

2. 헷갈리는 용어 정리

3. 기타

 

이를 직접 찾아서 모르는 것들은 여기에 포스팅을 하려고 한다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