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의 건축사
1) 우리나라의 건축 양식
우선 시대별 건축물을 살펴보기 전에 우리나라의 고전 건축양식은 처마의 형태와 기둥으로 결정되었다. 그에 따라 주심포양식, 다포양식, 익공양식 등으로 구분된다. 우선 주심포 양식은 고려시대 중기 쯤 중국으로부터 전래되어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초기에 주로 사용된 건축양식이다. 기둥 위에 주두를 높고 공포를 배치한 형태로 간결하고 직선적인 느낌을 준다. 우리나라 건축물을 볼 때 하나의 기둥 위에만 공포가 있다면 주심포 양식이다.
구체적으로 공포의 구조를 보면, 우선 기둥위에 주두가 있다. 이는 공포를 올려놓기 위한 받침판 같은 역할을 하며 주두 위에 첨차를 놓는다. 때로는 첨차 위에 소로를 놓고 다시 첨차를 쌓으며 공포를 만든다.
대표적인 건축물로는 고려시대의 봉정사 극락전, 부석사 무량수전, 수덕사 대웅전, 성불사 극락전, 강릉 객사문이 있고 조선시대 초기의 무위사 극락전 등이 있다.
다포양식 역시 고려시대 말기 중국으로부터 전래되어 조선시대의 궁궐의 정전이나 사찰의 주요 불전 등 건축물에 사용되었다. 기둥위에 창방과 평방을 놓고 그 위에 공포를 배치하기 때문에 기둥과 기둥 사이의 창방과 평방(보 같은 것)을 따라 공포가 배치된다. 주심포에 비해 곡선적이며 장식적이고 화려한 느낌을 준다.
다포에서는 소로의 위치가 동일 수직선상에 고정되어야하기 때문에 우미량을 사용하여 비교적 자유롭게 소로를 배치할 수 있는 주심포 양식과 차이가 있다. 또한 내부의 천장구조 역시 다른데 주심포의 경우 연등 천장이며, 다포의 경우에는 우물천장이다. 다포 양식의 대표적인 건축물로는 고려시대의 심원사 보광전, 조선시대 초기의 서울 남대문과 안동 봉정상 대웅전, 그리고 중시의 전등사 대웅전, 후기의 서울 동대문, 불국사 극락전, 경복궁 근정전 등이 있다.
그리고 조선시대초기부터 우리나라에서 독자적으로 발전 공포양식인 익공양식이 있다. 주로 부속건물을 건축할 때 사용되었다. 평방이 생략되고 주심포양식을 단순화한 형태이다. 대표적인 건축물로는 강릉 오죽헌, 종묘, 경복궁 경회루가 있다.
또 삼국시대에는 사찰건축을 할 때 사찰의 구성, 배치방법이 달랐다. 사찰건축에서 공간배치하는 것을 가람의 배치라고 하는데 고구려의 경우 1탑 3금당식으로 1개의 탑과 주위 3개의 절을 배치하였고, 백제와 신라는 1탑식, 통일신라는 2탑식으로 배치했다.
2) 우리나라의 시대별 건축물
삼국시대
고구려 : 청암리 사지(가장 오래된 가람형식)
백제 : 미륵사지, 정림사지
신라 : 황룡사, 분황사, 첨성대
통일신라시대
불국사 : 이탑식 가람배치, 화엄사
고려시대 : 봉정사 극락전(한국 최고의 목조건축물), 부석사 무량수전, 수덕사 대웅전 등
조선시대 : 서울 남대문, 법주사 팔상전, 수원 화서문 등
근대시대 : 서울역 역사(르네상스 양식), 조선총독부 청사(르네상스 양식), 약현성당(고딕양식), 명동성당(고딕양식), 서울 성공회성당(로마네스크양식), 한국은행(르네상스양식)
'전공공부 > 건축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법규 정리] 건축법 (2) 건축하기 위한 절차 (0) | 2024.07.07 |
---|---|
[건축법규 정리] 건축법 (1) 건축이란? (0) | 2024.07.07 |
[건축의 역사] 현대 건축양식 : 다양한 건축주제 (0) | 2024.07.05 |
[건축의 역사] 근대 건축양식 : 모더니즘의 태동-성숙-전환 (1) | 2024.07.05 |
[건축의 역사] 근세 건축양식 : 르네상스의 시작 (0) | 2024.07.05 |